스포츠 테크 시장의 성장으로 첨단 기술이 광범위하게 도입되고 있습니다. 그 중 정밀한 영상 기술을 활용한 비디오 판독 시스템은 경기의 공정성과 정확성을 개선 하였습니다. 이러한 기술 혁신은 단순한 판정 개선을 넘어 선수들의 경기력을 과학적으로 분석하고 향상시키며, 동시에 관중들의 경기 몰입도를 크게 높이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앞으로 인공지능과의 융합을 통해 스포츠 경기의 질적 향상과 국제적 보급 등 큰 시너지 효과가 기대됩니다.
한국 전통 스포츠의 AI 기술 도입
씨름 동작 이미지&영상 구간 어노테이션 라벨링


고객사의 PROBLEM
고객사는 씨름 선수의 경기력 향상을 위한 기술 분석 및 평가, 훈련 지원 프로그램 개발, 프로 선수들의 기술 노하우 전수 및 후임 양성 등 민족 스포츠 종목인 씨름의 발전에 기여하도록 하기 위해서 기술 장비를 도입하고자 하였습니다. 장비 도입을 위해서는 동작을 인식하고 자동으로 기술의 성공 여부를 확인하는 자동화 시스템이 필요하였습니다. 이를 위해서는 경기 상황에 대한 전략적인 이해와 명확한 동작 구분이 가능한 데이터가 필요하였습니다.이는 신체 구조를 잘 이해할 뿐만 아니라 동작 구분에 대한 일관적인 라벨링 작업 수행 능력이 요구되기 때문에 데이터메이커에 의뢰를 하였습니다.
* 이해를 돕기위한 이미지 입니다.
데이터메이커의 SOLUTION
영상 구간 분할 및 데이터 전처리
- 구간 분할 기준
- 메타 데이터 정리
- 편집점 분할
- 선수 정보


이미지 데이터 가공 - 키포인트, 바운딩 박스, 캡션
- 키포인트 라벨링
- 바운딩 박스 생성
- 캡션 생성 위의 기능을 이용하여 선수 신체 26개 지점에 키포인트를 라벨링하고 관절이 가려진 경우 가시 여부를 체크한 뒤, 이 정보를 바탕으로 심판을 제외한 선수의 외곽에 맞춰 바운딩 박스를 생성하며, 이어서 훈련 영상의 대회명과 경기 영상의 카메라 번호 등 메타정보를 활용해 중복 없이 간결하고 명확한 캡션을 작성하고, 마지막으로 중복 데이터를 제거해 고품질 학습용 데이터셋을 구축합니다.
이외에도
데이터 보안
- SSD 손상 및 분실 방지: NAS를 활용하여 영상 데이터를 중앙 집중 관리함으로써 SSD의 물리적 손상이나 분실로 인한 데이터 유실 위험을 최소화
- 영상 유출 방지: NAS 기반의 재생 플레이어를 통해 데이터 공유를 안전하게 진행하고, 영상 유출 위험을 낮춤
- 개인정보 비식별화: 선수의 얼굴, 신체 특징 등 개인을 특정할 수 있는 정보는 노출하지 않음
- 고유 ID 부여: 선수를 식별하기 위해 개인정보와 무관한 고유 ID를 부여
- 민감 정보 처리 주의: 선수의 나이, 체급 등 민감한 정보는 최소한으로만 사용하고, 필요한 경우 범위화하여 처리
- 이미지 내 등장하는 선수(2인)를 구별할 수 있도록 라벨링
- 영상 및 추출된 이미지에 기술 동작 및 경기 관련 정보를 포함
- 동작 정의서 교육을 통한 기술이 시작되는 시점, 기술이 들어가는 시점, 기술이 끝나는 시점에 대한 정보 포함
- 씨름 동작(기술)의 유형 구분 및 연결 동작의 명확한 구분
- 라벨링 가이드라인을 수시로 업데이트하여 정확성 향상